Surprise Me!

[1번지이슈] '500명 돌파' 말라리아 경보…코로나19 사망자 급증

2023-08-17 0 Dailymotion

[1번지이슈] '500명 돌파' 말라리아 경보…코로나19 사망자 급증<br /><br /><br />코로나19 방역이 해제되고 맞은 올여름, 해외 여행이 급증하면서 뎅기열 같은 해외 유입 감염병 환자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동시에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대표적 감염병인 말라리아 국내 감염자와 코로나19 고령층 사망자 수도 급증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내용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올해 들어 지난주까지 확인된 국내 말라리아 환자가 500명을 넘어섰습니다.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은 수치라고 하는데요.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들은 주로 열대지방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, 국내도 이제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봐야하나요?<br /><br /> 상황이 이렇다보니 질병관리청이 '말라리아 경보'까지 발령했는데요. 말라리아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?<br /><br /> 말라리아는 원충의 종류에 따라 증상이 다르다고 하던데요. 우리나라가 아니라 해외에 나갔다가 말라리아에 걸린 경우에는 중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면서요?<br /><br /> 국내 위험지역이나 해외여행 중에 말라리아를 예방하는 첫 번째 방법은 모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이겠죠?<br /><br /> 뎅기열은 우리나라에는 없는 병인데, 최근에는 유행 지역에 다녀온 후 발병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습니다. 우리나라 국민들이 해외 여행지로 선호하는 동남아에 뎅기열 환자가 증가하면서 여행 후 의심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?<br /><br /> 모기 매개 감염병에 걸린 경우 발열이나 두통, 근육통, 관절통, 발진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고 하는데요. 이런 증상은 감기와 혼동하기 쉽겠는데요?<br /><br /> 여행 전 방문 국가의 감염병 정보를 확인하고 모기 기피 용품과 상비약을 미리 준비한다면 안전한 여행에 도움이 될텐데요. 아예 미리 예방접종을 할 수는 없을까요?<br /><br />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도 발령됐습니다. 제주와 부산에 이어 대구와 인천에서도 '작은빨간집모기'가 발견됐다고 하는데요.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게 물리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?<br /><br /> 다행인 것은 일본뇌염 백신이 있다는 거죠. 그런데 일본뇌염 백신은 1971년에 도입된 만큼 50대 이상은 예방접종 여부를 알 수 없다면서요?<br /><br />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7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습니다. 다만 증가 폭이 전주 대비 크게 둔화한 만큼, 방역당국도 유행 상황을 한 주 더 살펴본 뒤 감염병 등급을 하향할 것으로 보입니다?<br /><br /> 그런데 확진자 증가 폭 둔화에도 불구하고 고령층 위주인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 수는 급증세를 보이는 이유는, 무엇 때문이라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최근 코로나19 유행을 이끄는 바이러스는 오미크론 하위 변위로 'XBB(엑스비비)' 계열이라고 하는데요. 이 변이 코로나에 걸렸을 때 주로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? 다른 변이와 차이가 있나요?<br /><br /> 제약사들이 'XBB.1.5'를 겨냥한 백신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고, 질병관리청도 10월 중 XBB.1.5 타깃 백신을 활용해 예방접종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. 새로운 백신, 또 맞아야 하는 건지, 누가 꼭 맞아야 하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